일본, 중국 등 주변국 해군 항공력보다 열세인 우리 해군 항공력이 경항공모함 도입으로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지난 8월 9일, “2021-2025 국방중기계획”을 발표하면서 한반도 인근해역과 원해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내년부터 경항모 확보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특히 국방부는 지난해 2020-2024 국방중기계획에서 “다목적 대형수송함”으로 지…
FOD(Foreign Object Damage) 책상 서랍에 조그만 스크류 하나를 보관하고 있다. 쳐다보면 쳐다볼수록 끝이 날큼한 것이 아주 위험스러워 보이는 그놈은 얼마 전 내 차 바퀴에서 빼낸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타이어 바람이 자꾸만 빠져 차가 기우뚱거리기도 하고 둔덕을 오를라치면 한쪽으로 기울기도 해서 그때마다 바람을 채워 넣곤 했지만, 바람이 아주 천천히 빠지는 통에 펑크…
사진: 보잉 해군이 대잠작전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 중인 해상항공기 사업들이 최근 전환점을 맞았다. 이 가운데 신형 해상초계기를 도입하는 해상초계기-II 사업은 P-8 포세이돈을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됐고, 12대의 신형 해상작전헬기를 도입하는 해상작전헬기 2차 사업은 본격적인 기종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해상초계기, 논란 끝에 P-8로 결정 단독기종 …
사진: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향후 민수헬기시장 진출을 위해 추진 중인 LCH(Light Civil Helicopter, 소형민수헬기) 개발이 최근 비행시험단계로 진입했다.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프랑스의 에어버스 헬리콥터(AH)가 국제공동개발 중인 가운데 지난 7월 24일, AH의 본사가 있는 프랑스 마리냥에서 시제1호기에 대한 첫 비행이 성공적으로 실시됐다. LCH …
요즘 군사강국을 중심으로 6세대 전투기 개발경쟁이 뜨겁다. 6세대 전투기는 인공지능(AI), 유무인기 복합운용, 레이저무기 등으로 대표되는 특징을 갖춘 전투기. 현재 미국을 비롯해 러시아,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고 중국과 일본 등 군사강국으로 평가받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6세대 전투기 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이는 일부 국가만 개발한 5세대 전투기와는 …
사진: 해군 북한 핵․미사일 대비, 해군 미사일 전력 강화 - 차기 이지스함에 최신 이지스 전투체계 탑재 ⋯ SM-3 미사일 운용 가능 - 장보고-III, 탄도미사일 탑재 전망 ⋯ 함대지미사일, 신형 호위함 탑재 확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를 놓고 나라 안팎이 시끄럽다. 안에서는 사드포대 부지 선정으로 국론이 갈라졌고, 밖으로는 중국과 러시아…
북한에 공포? 미국의 전략 폭격기 최근 B-1B 2대가 우리나라 상공에 전개한 데 이어 B-52 폭격기도 국내에 전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의 전략폭격기 전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들 폭격기 전력들은 핵무기도 탑재할 수 있어 북한을 압박하는 데 핵심전력으로 손꼽히고 있다. B-52 스트래토 포트리스 B-52는 6,400㎞ 이상의 거리를 날아가 대규모 폭격작전…
지난 2월 19일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출발해 파리 샤를 드골 공항으로 향하던 에어프랑스 소속 A320는 26번 활주로로 접근하던 중 아찔한 순간을 경험했다. 항공기는 5,500피트 상공에서 220노트 속도로 분당 1천 피트씩 고도를 낮추고 있던 중 조종사는 공중에 떠 있는 드론을 발견한 것. 프랑스 민간항공국 BEA의 조사관은 “당시 비행을 하고 있던 기장이 11시 방향에서 …
제트 여객기의 계보(55) Fokker F100 글/ 이장호 2차 대전 중 등장한 제트 엔진은 작고 간단하지만 강력한 파워를 낼 수 있는 동력원으로 주목받았다. 1940년대만 해도 아직 제트 엔진이 완벽하게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잠재력이 충분했다. 전쟁이 끝나고 이름 그대로 "혜성"처럼 등장한 영국의 D.H.106 코메트(Comet) 여객기는 세계 최초의 제트여객기로 구름보다 더 높…
제트여객기의 계보(54) Boeing 737 Classic(Pt.3) 글/ 이장호 오늘날 미국을 대표하는 여객기 전문 제작 업체는 보잉(Boeing)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미국에는 보잉, 더글러스(Douglas), 록히드(Lockheed) 등 대형 여객기를 제작하는 3개의 전문 업체가 존재했다. 물론 보잉 747 점보제트 여객기가 등장하면서 보잉은 대형 여객기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
제트여객기의 계보(53) Boeing 737 Classic(Pt.2) 글/ 이장호 1970년대 후반에 새로운 여객기를 개발하고자 했던 보잉(Boeing)의 가장 큰 고민 거리는 연비와 소음공해 문제였다.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2가지 문제점은 민간 여객기를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숙명적인 숙제이기도 하다. 1970년대까지 등장한 대부분의 여객기는 군용기 엔진을 개조해 탑재하고…
제트 여객기의 계보(52) Boeing 737 Classic(Pt.1) 글/이장호 이름 그대로 혜성처럼 나타난 D.H.코메트(Comet) 여객기는 세계 최초의 제트 여객기로 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원인불명의 추락사고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판매에 큰 타격을 입고 말았다. 코메트 여객기의 사고 원인을 철저하게 조사하고 대책을 세우는 동안 보잉은 제트여객기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