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 헬기의 패러다임이 조만간 변화할 조짐이다. 최근 전 세계에서 개발 중인 차기 군용 헬기들이 80여 년간을 이어온 전통적인 헬기의 한계에서 벗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새로 개발되는 헬기들이 복합형과 전환형 방식으로 개발되면서 속도와 항속거리 성능이 기존 헬기를 크게 뛰어넘고 있다. 1942년 세계 최초의 양산형 헬기인 R-4가 등장한 이후 세계 헬기 개발의 주류가…
케일럼 “국내 항공산업 미래 제시할 것” 윤종석 케일럼 회장 Photo : 월간항공 최근 국내 항공업계에서 ‘신항공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윤종석 케일럼(Caelum) 회장. 지난 2021년 10월 항공사업 진출을 공식화한 데 이어, 2022년 3월에는 기업설명회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신항공사업 비전을 공표하고, 사명도 기존 EWK에서 신항공사업에 대한 의지를 담은 &lsq…
"Fight Tonight!" 미 공군 제8전투비행단 지난해 북한이 60발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최근에는 소형 무인기로 우리 영공을 침범하는 등 도발 수위를 계속 높이고 있다. 지속되는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수준의 전투 준비 태세가 강조되는 시점이다. 이런 가운데, 주한 미 공군의 핵심 부대 중 하나인 제8전투비행단에는 ‘당장 싸워 …
“우리는 오늘 밤이라도 싸울 준비가 돼 있다” 헨리 제프리스(Henry R. Jeffress, III) 미 공군 제8전투비행단장 Photo : 월간항공 “한국 국민을 위한 우리 임무가 얼마나 막중한지 알고 있다” 미 공군 제8전투비행단을 이끄는 헨리 제프리스 단장이 기자에게 건넨 말이다. 전투조종사로서 군산과 오산 기지를 오가며 한국과 오랜 연을 맺어온 그의 헌신…
육군이 기존 UH-60P 블랙호크 헬기를 특수전용으로 개량할 계획인 가운데 최근 미 방산업계가 이 성능개량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 육군은 ‘중형기동헬기 전력 중장기 발전방향’에 따라 현재 보유 중인 UH-60P 헬기 중 일부를 특수전용 헬기로 개량한다는 계획이다. 알려진 것처럼 특수전용 헬기는 침투에서부터 퇴출, 타격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
요즘 군사강국을 중심으로 6세대 전투기 개발경쟁이 뜨겁다. 6세대 전투기는 인공지능(AI), 유무인기 복합운용, 레이저무기 등으로 대표되는 특징을 갖춘 전투기. 현재 미국을 비롯해 러시아,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고 중국과 일본 등 군사강국으로 평가받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6세대 전투기 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이는 일부 국가만 개발한 5세대 전투기와는 …
사진: 해군 북한 핵․미사일 대비, 해군 미사일 전력 강화 - 차기 이지스함에 최신 이지스 전투체계 탑재 ⋯ SM-3 미사일 운용 가능 - 장보고-III, 탄도미사일 탑재 전망 ⋯ 함대지미사일, 신형 호위함 탑재 확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를 놓고 나라 안팎이 시끄럽다. 안에서는 사드포대 부지 선정으로 국론이 갈라졌고, 밖으로는 중국과 러시아…
북한에 공포? 미국의 전략 폭격기 최근 B-1B 2대가 우리나라 상공에 전개한 데 이어 B-52 폭격기도 국내에 전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의 전략폭격기 전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들 폭격기 전력들은 핵무기도 탑재할 수 있어 북한을 압박하는 데 핵심전력으로 손꼽히고 있다. B-52 스트래토 포트리스 B-52는 6,400㎞ 이상의 거리를 날아가 대규모 폭격작전…
제트 여객기의 계보(55) Fokker F100 글/ 이장호 2차 대전 중 등장한 제트 엔진은 작고 간단하지만 강력한 파워를 낼 수 있는 동력원으로 주목받았다. 1940년대만 해도 아직 제트 엔진이 완벽하게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잠재력이 충분했다. 전쟁이 끝나고 이름 그대로 "혜성"처럼 등장한 영국의 D.H.106 코메트(Comet) 여객기는 세계 최초의 제트여객기로 구름보다 더 높…
제트여객기의 계보(54) Boeing 737 Classic(Pt.3) 글/ 이장호 오늘날 미국을 대표하는 여객기 전문 제작 업체는 보잉(Boeing)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미국에는 보잉, 더글러스(Douglas), 록히드(Lockheed) 등 대형 여객기를 제작하는 3개의 전문 업체가 존재했다. 물론 보잉 747 점보제트 여객기가 등장하면서 보잉은 대형 여객기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
제트여객기의 계보(53) Boeing 737 Classic(Pt.2) 글/ 이장호 1970년대 후반에 새로운 여객기를 개발하고자 했던 보잉(Boeing)의 가장 큰 고민 거리는 연비와 소음공해 문제였다.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2가지 문제점은 민간 여객기를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숙명적인 숙제이기도 하다. 1970년대까지 등장한 대부분의 여객기는 군용기 엔진을 개조해 탑재하고…
제트 여객기의 계보(52) Boeing 737 Classic(Pt.1) 글/이장호 이름 그대로 혜성처럼 나타난 D.H.코메트(Comet) 여객기는 세계 최초의 제트 여객기로 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원인불명의 추락사고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판매에 큰 타격을 입고 말았다. 코메트 여객기의 사고 원인을 철저하게 조사하고 대책을 세우는 동안 보잉은 제트여객기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절호…
제트 여객기의 계보(51) Airbus A310 글/ 이장호 같은 제트여객기라고 해도 미국과 유럽의 여객기는 근본적인 개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국토가 넓은 미국은 국내선이라고 해도 장거리 노선의 경우 6~7시간이나 비행하며 대서양 횡단 노선에 버금가는 먼 거리를 운항한다. 반면 많은 국가들이 국경을 맞대고 있는 유럽의 경우 국제선이라고 해도 미국 국내선보다 짧은 거리…
제트 여객기의 계보(50) Boeing 757(Pt.2) 글/ 이장호 경쟁업체인 더글러스(Douglas), 록히드(Lockheed)와 더불어 미국의 3대 여객기 업체였던 보잉(Boeing)은 1940년대까지만 해도 3위에 머물고 있었다. 그렇지만 보잉이 내놓은 707 제트여객기는 출현 시기가 매우 적절했다. 팬암항공(Pan American World Airways)을 비롯한 주요 항공사들이 707 제트여객기를 도입했고, 보잉은 경쟁업체를 …
제트여객기의 계보(49) Boeing 757(Pt.1) 글/ 이장호 1957년에 등장항 보잉(Boeing) 707 기종은 미국에서 개발된 최초의 제트여객기다. 윌리엄 앨런(William Allen) 회장의 큰 결심으로 시작된 보잉 707 여객기의 성공은 만년 3위에 머물던 보잉을 단숨에 1위 업체로 끌어올렸을 뿐 아니라 유럽이 보유하고 있던 제트여객기의 주도권을 미국으로 가져오는데 기여했다. 미 공군의 KC-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