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항공전력 강화 추세, 올해 항공기 도입계획은?



일본, 항공전력 강화 추세
올해 항공기 도입계획은?

 
- 방위성, 올해 방위예산 약 51조 8000억 원 ⋯ 역대 최대 기록
- 오스프리 등 첨단 기종 도입 추진 ⋯ 탄도미사일 방어능력도 강화

 
글/ 김재한


일본 방위성이 내년도 방위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5조1,685억엔(약 57조6천억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항공전력도 대폭 강화하고 있다. 특히 일본 방위성은 항공전력 강화를 통해 주변 해역 및 도서 지역에 대한 위협과 공격에 강력히 대응한다는 방침으로 내년 방위예산 요구안에도 이에 대한 예산을 상당부분 반영했다.
 

공중우세 전력 확보 및 성능개선
일본 방위성은 공중우세를 유지하기 위해 우선 올해 방위예산에 F-35A 6대를 도입하기 위한 예산 946억엔(약 1조326억원)을 반영했다. 현재 일본은 F-35A 42대를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도입할 예정으로 1호기가 지난 8월 22일 첫 비행을 실시했다. 미국 포트워스에서 제작된 첫 4대는 올해 중 항공자위대에 인도되며, 나머지 38대는 일본 나고야에 있는 미쓰비시중공업(MHI)의 최종조립시설에서 제작된다. 그리고 F-35A 운용을 위한 정비교육은 에글린 미 공군기지에서, 조종교육은 루크 미 공군기지에서 진행되고 있다.


F-2 전투기에 대한 성능개량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F-2는 록히드마틴과 미쓰비시중공업이 공동으로 개발한 전투기로 2000년 10월부터 운용되기 시작했다. 2011년까지 총 94대가 제작돼 항공자위대에 인도됐으며, 현재 3개 전투비행대대와 1개 훈련비행대대에서 운용되고 있다. 특히 F-2는 세계 최초로 적용된 복합소재의 일체형 날개와 미쓰비시중공업이 개발한 J/APG-1 AESA 레이더, 스텔스 전파흡수도료(RAM), 통합전자전시스템(IEWS) 등 일본의 첨단기술이 반영된 고성능 전투기로 평가받고 있다.


일본 방위성은 F-2 전투기에 전투기용 자위대 디지털통신시스템JDCS(F)을 탑재할 예정이다. (사진: USAF)


일본 방위성은 이러한 F-2 전투기에 대한 성능개량을 일찌감치 시작했다. 이는 일본의 주변국가인 중국과 러시아가 신형 군용기와 순항미사일 등을 전력화하면서 성능개량 필요성이 제기됐고, 2005년 개정된 방위대강에서 요격용과 지원용 전투기 구분이 폐지되면서 다목적 전투기로서 성능개선이 추진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조치로 엔진은 이전 F110-129 DEC에 비해 신뢰성과 데이터기록 성능이 대폭 향상된 F110-129 MDEC(Modernized Digital Engine Control) 터보팬 엔진으로 교체됐으며 J/AAQ-2 외장형 적외선전방감시(FLIR) 장비와 스나이퍼 XR 타게팅 포드 등 신형 장비가 장착됐다. 또한 AIM-120 AMRAAM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AAM-4B(99식) 중거리 공대공미사일과 추력편향노즐이 장착돼 기동성이 우수한 AAM-5(04식) 단거리 공대공미사일도 운용할 수 있도록 성능이 개선됐다.


특히 올해 방위예산에는 F-2 전투기에 전투기용 자위대 디지털통신시스템(Japan self defense force Digital Communication System(Fighter), JDCS(F)을 탑재하기 위한 53억엔(약 587억원)을 반영했다. JDCS(F)는 미쓰비시중공업이 2009년부터 개발에 착수해 2014년에 개발을 마친 데이터링크 시스템으로 F-15J와 E-767 공중조기경보기 등 다른 전력과 정보공유가 가능하며, 지상에 있는 지휘통제용 및 전방항공통제용 시스템과도 연결, 긴밀한 정보공유가 가능해 보다 정밀한 대지공격을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공중전력의 임무시간을 늘여주는 공중급유기 전력도 강화된다. 방위성은 전투기 전력이 일본 주변 공역에서 각종 작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KC-46A 신형 공중급유수송기 1대를 도입하기 위한 예산으로 318억엔(약 3,472억원)을 반영했다. 이와 함께 도서지역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UH-60J의 탐색구조 활동 범위와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16억엔(약 175억원)을 들여 C-130H 수송기에 공중급유기능을 추가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방위성은 기지방공용 지대공 유도탄, 03식 중거리 지대공유도탄, 11식 단거리 지대공유도탄 등의 도입을 위해 252억엔(약 2,765억원)을 올해 방위예산에 반영했다.

 
감시체계 강화
감시체계 강화를 위한 예산도 반영됐다. 그 중 하나가 고고도장기체공 무인정찰기인 RQ-4 글로벌 호크. 일본 방위성은 중국과 북한의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지난 2014년 글로벌 호크 3대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오는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전체 사업비용은 약 1,470억엔(약 1조 6,300억원)으로, 이 가운데 내년도 방위예산에 로벌 호크 1대분에 대한 조립비용으로 173억엔(약 1,888억원)이 반영됐다. 앞서 일본은 지난 2013년 10월, 미일 안전보장협의회의를 통해 미 공군의 글로벌 호크 2~3대를 2014년부터 일본에 순환배치하는 것에 합의했으며, 이후 이들 전력을 항공자위대가 도입하는 글로벌 호크로 대체하는 데에도 의견을 같이 한 바 있다.


일본은 중국과 북한의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2014년 글로벌호크 3대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사진: USAF)


하지만 최근 일본 현지 언론을 통해 방위성과 자위대에서 글로벌 호크 운용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다. 보도내용에 따르면 방위성이 미국과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호크 운용에 따른 제약과 비용문제가 예상 외로 큰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특히 가장 큰 문제로 글로벌호크를 자주 띄울 수 없다는 점을 꼽았다. 고고도에서 운용하는 임무특성상 정비에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만약 일부 기체가 정비 중일 때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감시체계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고 방위성이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일부 핵심 부분에 대한 정비 및 데이터 처리도 보안문제상 미국 현지로 보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운용비용도 많이 들어갈 것으로 지적됐다. 실제로 방위성이 글로벌 호크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운용비용을 분석한 결과, 매년 100억엔(약 1천120억원) 이상이 들어갈 것으로 분석됐다.


E-767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에 대한 성능개량도 추진된다. 일본은 지난 2000년부터 보잉 767을 기반으로 개발된 E-767을 운용하고 있으며, 현재 4대를 보유하고 있다. E-3의 AN/APY-1 레이더보다 성능이 개선된 3차원 방식의 AN/APY-2 탐색레이더를 비롯해 적아식별장비, 상황표시장비, 기타 통신/항법 장비 등의 주요 장비가 설치돼 있으며, 1만km가 넘는 항속거리와 약 12시간의 체공시간으로 장시간 공중감시가 가능한 기종이다. 방위성은 이러한 E-767의 감시능력을 높이기 위해 2대분에 대한 중앙 임무컴퓨터 교체와 전자전 지원장비 개선을 위해 220억엔(약 2,400억원)을 올해 방위예산에 반영했다.


일본은 지난 2000년부터 보잉 767을 기반으로 개발된 E-767을 운용하고 있으며, 현재 4대를 보유하고 있다. (사진: JASDF)


그 밖에 방위성은 남서지역의 감시태세를 유지하기 위해 우니시마섬에 최신 위상배열레이더 기술이 적용된 FPS-7 감시레이더를 배치한다는 계획으로 올해 방위예산에 86억엔(약 980억원)을 반영했다.
 

해상 공중전력 성능 개선
방위성은 주변 해역에서의 감시능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해상작전용 공중전력에 대한 성능개선도 진행 중이다. 특히 올해 방위예산에는 P-3C와 SH-60 전력에 대한 수명연장과 성능개선을 위한 예산이 집중됐다. 이 가운데 방위성은 P-3C 해상초계기의 탐지식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레이더 성능 개선에 5억엔(약 54억원), P-3C(3대분) 및 OP-3C에 대한 수명연장에 각각 18억엔(약 197억원)과 7억엔(약 76억원)의 예산을 반영했다. 이와 함께 SH-60K(2대분), SH-60J(2대분) 등 SH-60 계열 4대에 대한 수명연장을 위해 47억엔(약 502억원)도 방위예산에 반영했다.


현재 해상자위대는 해상초계용 P-3C를 비롯해 신호정보수집용 EP-3C, 화상정보수집용인 OP-3C, 전자전 훈련용인 UP-3D 등 90여대에 가까운 P-3C 전력을 보유 중이지만, 향후 이들 전력도 지난 2013년 개발이 완료된 P-1 신형 해상초계기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라면 방위성은 약 70대의 P-1을 생산해 현재 운용 중인 P-3C를 대체할 예정으로, 성능도 미 해군의 P-8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향후 일본의 해상작전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신속한 전개를 위한 전력 강화
방위성은 대규모 전력을 신속하게 전개시키기 위한 전력도 강화한다. 우선 일본은 미국을 제외한 최초의 V-22 오스프리 도입 국가로, 지난 2015년 5월에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이 30억달러(약 3조 4,440억원) 규모의 MV-22B 17대를 일본에 판매한다고 미 의회에 통보했다. 그리고 2개월 후인 7월, 방위성은 총 17대 중 초도분 5대를 도입하는 계약을 미 국방부와 체결했다. 특히 방위성은 지난해 7월에도 2차분 4대를 도입하는 계약을 추가로 체결하면서 올해 방위예산에 MV-22B 4대를 도입하기 위한 393억엔(약 4,280억원)을 반영했다. 방위성은 이들 도입계약에 따라 초도분 5대는 오는 2018년 6월까지, 2차분 4대는 2020년 5월까지 인수하게 되며 나머지 8대도 순차적으로 인수할 전망이다.


일본은 MV-22B 도입계획에 따라 초도분 5대는 2018년 6월까지, 2차분 4대는 2020년 5월까지 인수하게 되며 나머지 8대도 순차적으로 인수할 전망이다.(사진: USN)


오스프리 도입과 함께 C-2 신형 수송기 도입도 계속 추진된다. C-2는 기존 C-1 수송기를 대체하기 위해 일본 가사사키중공업이 개발한 기종. 지금까지 일본은 C-130H 15대와 C-1 수송기 30여대를 전술수송기로 운용해 왔지만, C-1보다 수송능력이 뛰어난 C-2 수송기로 대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주요 특징으로 C-1에 비해 탑재능력이 증가돼 단거리 활주로에서의 탑재량은 26톤, 2,300m 길이의 활주로에서의 탑재량은 최대 34톤에 달한다. 또한 트럭, 크레인, UH-60J 헬기 1대 또는 화물 팰릿 8개를 실을 수 있으며, 자동 적재/하역 기능도 있다. 아울러 전술비행관리 및 야시 시스템도 적용돼 군사적 임무와 국제항로를 비행할 수 있으며, 순항속도 마하 0.8, 항속거리가 약 6,480km로 전략수송 임무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물론 공중급유를 통해 항속거리도 더욱 늘일 수 있다.
지난 6월 양산 1호기가 항공자위대에 배치된 가운데, 방위성은 올해 방위예산에 C-2 3대를 도입하기 위한 예산으로 667억엔(약 7,265억원)을 반영했다. 업계 전망에 따르면 현재 운용 중인 C-1 수송기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향후 40여대의 C-2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H-47JA 수송헬기 6대를 도입하기 위한 456억엔(약 4,974억원)도 올해 방위예산에 반영됐다. CH-47JA는 CH-47J의 성능을 개선시킨 기종으로 지난 1995년부터 도입이 시작됐다. CH-47J와 비교해 연료탱크가 보다 커졌고, 야간운용능력이 개선됐으며, 기상레이더와 전방적외선감시(FLIR) 장비도 추가됐다. 특히 해외임무 수행을 위한 기체에는 공기흡입구에 방진필터가 추가된 것을 비롯해 방탄판, 기관총 장착대, 위성전화, 의료용 컨버터, 미사일경보 및 플레어/채프 장치 등이 설치됐다.
 

미사일방어체계도 대폭 강화
한편, 일본 정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전력도 대폭 강화할 전망이다. 일본 현지 보도에 따르면 일본 방위성은 올해 방위예산에 SM-3 블록2A 미사일 구매에 1억 5천만달러(약 1,765억원), PAC-3 미사일 성능개량사업에 9억 8천만달러(약 1조 1,510억원)를 요청했다. 이 가운데 SM-3 블록2A는 일본과 미국이 공동으로 개발 중인 사거리 1천km 이상의 함대공 미사일로 이지스 구축함에서 발사해 대기권 밖에서 북한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 그리고 PAC-3은 현재 일본이 보유한 주요 미사일방어체계 중 하나로, 일본 방위성은 현재 보유한 PAC-3 미사일의 사거리를 늘린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