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호] 해군 소해헬기 사업, 체계개발업체 선정 돌입

해군의 기뢰 대항 능력을 보강하기 위한 ‘소해헬기 사업’이 추진 중인 가운데 최근 소해헬기를 개발할 업체 선정 작업이 시작됐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8월 4일, 소해헬기 체계개발 업체를 선정하는 입찰공고를 내고 사업을 본격화했다. 입찰공고에 따르면 사업예산은 약 3,455억 원. 계약체결일로부터 47개월간 체계개발이 추진될 예정이다.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올해 말까지 체계개발업체 선정과 계약체결이 진행되고, 내년부터 체계개발이 본격화돼 오는 2026년이면 국산 소해헬기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소요제기 후 19년 만에 사업 착수
소해헬기 사업은 오는 2030년까지 약 9,700억 원을 들여 해상교통로와 상륙해안에 설치된 기뢰를 탐색하고, 이를 소해하는 헬기 8대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지난 2003년 처음 소요가 결정됐지만, 3차례나 소요 수정을 거치는 등 사업이 지연됐다. 그러던 중 지난해 3월, 제134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사업추진기본전략이 의결된 후, 지난 5월에 체계개발기본계획(안)이 마침내 의결됐다. 최초 소요가 결정된 지 약 19년 만에 마침내 사업이 추진되는 셈이다.
그사이 사업추진 방향도 변경됐다. 최초 소요결정 이후 국외 도입을 통해 소해헬기를 획득할 계획이었지만, 선행연구 등을 거치면서 지난해 3월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도입하는 방안으로 최종 의결됐다. 이에 따라 상륙기동헬기인 마린온을 기반으로 국산 소해헬기를 개발하는 방안이 사실상 확정됐다. 


Image : KAI

사업추진 방향이 국내 연구개발로 의결됐지만,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사업타당성조사에서도 국외 도입이 조금 유리하게 평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방위사업청이 추진 중인 정책인 ‘한국산 우선획득제도’에 근거해 국내연구개발 방식으로 지속 추진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아울러 총사업비 부분에서도 체계개발비용이 당초 약 2,730억 원에서 약 3,476억 원으로 증액됐고, 양산비용도 약 5,773억 원에서 6,187억 원으로 증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돼 증액된 비용이 실제 총사업비용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플랫폼은 국산, 임무장비는 국외산
체계개발이 본격화되면 크게 플랫폼 개발과 임무장비 도입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이 가운데 플랫폼은 상륙기동헬기 제작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이 해군의 소해헬기 도입에 맞춰 마린온 기반의 소해헬기를 제안해 왔다. KAI에 따르면 마린온 기반의 소해헬기는 완전 디지털 글래스 조종석(Full Digital Glass Cockpit)을 비롯해 최신 4축 자동비행조종시스템(AFCS), 최신 생존장비(RWR, LWR, MWR, 채프/플레어 발사기), 전자광학/적외선(EO/IR) 카메라, 1,800+ 마력급 쌍발엔진 등을 갖춘 기체에 최신 소해 임무장비(ALMDS, AMNS, AUV)와 이를 통제할 소해장비 통합운용콘솔이 적용될 예정이다. 


Image : KAI

국내에서 개발되는 플랫폼과 달리 소해헬기의 핵심인 임무장비는 모두 국외에서 도입될 예정이다. 현재 탑재될 예정인 임무장비는 총 3개. 레이저를 이용해 얕은 수심의 기뢰나 계류 기뢰를 빠르게 탐지할 수 있는 레이저기뢰탐색장비(ALMDS)와 오퍼레이터가 어뢰처럼 생긴 폭파장치를 직접 조정해 수중에 있는 기뢰를 식별하고 직접 폭파할 수 있는 무인기뢰처리장비(AMNS), 그리고 수중에서 사전에 계획된 위치로 자율적으로 기동하면서 수중에 부설된 기뢰를 탐색할 수 있는 수중자율기뢰탐색체(AUV) 등으로 구성된다.
한때 임무장비도 국내 개발을 통해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됐다. 그중 AMNS를 대신해 무인기뢰처리기(ROV)를 신개념기술시범사업(ACTD)을 통해 개발해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됐지만, 개발에 실패하면서 결국 국외로부터 도입하기로 결정됐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항공 9월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월간항공 9월호
 서적 구매하기